반응형
“만 32세에 청년 전세대출로 전세 들어가게 되면 처음 2년 계약 이후에도 계속 살 수 있나요? 아니면 만 34세까지만 가능한가요?”
청년 전세대출(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)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내용입니다.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.
✅ 결론부터 말씀드리면
처음 대출만 만 34세 이하에 신청했다면, 이후 나이가 넘어도 최대 10년까지 거주가 가능합니다!
📌 청년 전세대출 기본 조건 정리 (2025년 기준)
- 연령: 만 19세 ~ 만 34세 이하 (처음 신청 시 기준)
- 소득: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(취업 준비생도 가능)
- 주택 조건: 임차보증금 2억 이하, 전용면적 85㎡ 이하 (1인 가구는 60㎡)
- 대출 한도: 수도권 최대 7천만 원, 그 외 지역 5천만 원
🔁 대출 연장 가능 여부
항목 | 내용 |
---|---|
최초 계약 기간 | 2년 (전세계약에 맞춰 설정) |
연장 가능 횟수 | 4회 (각 2년씩) |
최대 거주 기간 | 10년까지 가능 |
연장 시 나이 제한 | 없음 (35세 이후도 연장 가능) |
주의사항 | 연장 시 소득/무주택 상태 유지 필요 |
🧾 실제 사례로 쉽게 이해하기
- 2025년 만 32세에 대출 승인
- 2년 계약 후 2027년 → 만 34세 → 연장 가능
- 그 뒤로 36세, 38세, 40세, 42세까지 총 10년 가능
💬 마무리 요약
청년 전세대출은 신청 시점에만 만 34세 이하면 되고, 대출 승인 후에는 **나이가 넘어도** 계약을 연장하며 최대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. 다만 소득 조건과 무주택 요건은 계속 충족하셔야 해요!
대출 연령제한 때문에 고민이셨던 분들께 꼭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😊
#청년전세대출 #청년버팀목전세자금 #만34세이후 #전세대출연장 #청년대출2025 #LH대출 #전세보증금
반응형